<특히 효과 있는 영양 성분>
콜린 , EPA , DHA , 비타민E, 카테킨, 비타민 C
<식사 포인트>
▶염분을 제한한다
뇌혈관성 치매의 진전을 막기 위해서는 혈압의 콜레스테롤이 가장 중요하다. 염분섭취량이 많으면 순환되는 혈액이 증가하여 혈압이 올라가고 뇌혈관 장애가 일어나기 쉽게 되어 치매로 진전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지질을 제안한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수치를 적당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나치게 높으면 뇌경색, 지나치게 낮으면 뇌출혈을 일으키기 쉬우며 치매로 진전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약 120에서 220mg/dl정도가 적당하다.
▶식물성 섬유 어패류를 충분히 섭취한다
어패류는 EPA, DHA가 많은 것을 섭취한다
▶영양결핍에 주의한다
영양결핍으로 뇌출혈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등의 영양소가 결핍되지 않도록 한다.
콜린
♥콜레스테롤이 침착되는 것을 막는다
*콜린이 치매에 좋은 이유는?
콜린은 체내에서 지질, 인산 등과 함께 레시틴(포스파티딜콜린)을 만든다. 레시틴은 콜레스테롤을 유화시켜 동맥에 쌓이지 않도록 하여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뇌혈관성 치매로 발전될 위험을 감 경감시킨다. 또 콜린은 기억력에 관계하는 신경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원료로, 아직까지 연구는 불충분 하지만 콜린을 보충해 주면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기억력 장애의 개선과 연관이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하고 있다.
* 올바른 섭취방법은?
콜린을 함유하고 있는 식품을 섭취하는 것 외에 계란 노른자 나 콩, 정백미 등에 함유되어 있는 레시틴도 체내에서 합성되므로 함께 섭취하면 좋다.
*콜린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식품 *
(돼지 간, 계란, 소간, 말린 콩, 돼지고기, 땅콩, 고구마, 두부, 옥수수, 우유)
EPA
♥혈전을 이용해서 혈관을 확장한다
*EPA가 치매에 좋은 이유는?
EPA는 혈액 중의 혈소판이 응집되는 것을 억제하고, 혈전을 용해시켜 혈관을 확장시켜 준다. 이는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뇌혈관 장애와 치매 증상의 진전을 막아 준다. 혈액 중의 EPA 농도가 높은 어촌 주민들은 혈관성 치매 발생률이 낮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올바른 섭취방법은?
지방분이 많은 등 푸른 생선이나 회는 살코기보다는 뱃살의 기름기가 많은 부분을 다 먹을 수 있는 찜이나 그라탱 등으로 조리해 먹는 것이 좋다. 적어도 이틀에 한 끼는 생선을 먹는 것이 좋다
알츠하이머 형은 예방할 수 있나?
치매는 뇌혈관 성과 알츠하이머형으로 나뉜다. 이병은 아직까지 그 원인이 불분명하고, 예방법과 치료법도 확실하지 않다. 발병 환자의 뇌에서는 신경 전달 물질 ( 뇌에 있는 약 100억 개의 신경세포가 정보를 전달하는 데 필요한 물질)인 아세틸콜린이 눈에 띄게 감소하는 것으로 미루어 아세틸콜린 분해 장애약이 조기 치료를 돕는데 효과가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하고 있다.
DHA
♥중성 지방과 콜레스테롤 줄인다
*DHA가 치매에 좋은 이유는?
EPA와 같은 작용으로 치매를 예방한 다. 또 DHA는 뇌의 발육과 기능 유지에 반드시 필요한 성분으로, 결핍되면 정보 전달이 잘 되지 않고, 학습 능력과 기억 능력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 노화로 인한 학습 능력 저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뇌 세포가 죽어도 남아 있는 뇌 세포의 작용을 DHA로 높여 준다면 뇌혈관성 치매나 알츠하이머형 치매를 개선시킬 수도 있으리라 예상하고 있다.
* 올바른 섭취방법은?
EPA와 같으면, 특히 다랑어 눈 주위 지방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DHA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식품
(고등어, 방어, 양식참돔, 양식 새끼방어, 장어구이, 홍살치, 다랑어 뱃살 의 기름기 많은 부분, 꽁치, 삼치,
정어리, 무지개송어, 연어, 전갱이, 도루묵)
비타민E
♥동맥경화를 예방한다
*비타민 E가 치매에 좋은 이유는?
비타민 E는 과산화 지질의 성분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뇌 혈관성 치매의 위험 인자인 동맥 경화를 예방한다. 또한 비타민 E의 항산화 작용은 활성 산소로부터 뇌 E의 세포를 지키고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진행을 늦추는 효과도 있다. 비타민 E의 투여 후 계단에서 떨어지는 등의 사고가 줄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올바른 섭취방법은?
비타민 c를 충분히 섭취하면 비타민 E의 항산화 효과가 상승하므로 병행해서 섭취하면 좋다. 그러나 비타민이 E 함유량이 풍부하다고 해도 오래된 식물유는 피해야 한다.
비타민 E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식품 말린 아몬드, 무지개송어, 튀김 헤이즐넛, 서양 호박, 장어구이, 아기의 간, 세끼 방어, 해바라기유, 불가동 모로헤이야, 황새치, 볶은 땅콩, 소맥배아
카테킨
♥혈압상승과 혈소판 응집을 억제한다
카테킨이 치매에 좋은 이유는?
차에 떫은맛 성분인 카테킨은 혈압 상승 억제, 혈소판 응집 억제, 항산화 작용을 한다. 이런 작용은 뇌혈관 장애가 발병을 억제하여 치매를 예방하는 다. 또 같은 차 성분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인 태아 난에도 뇌혈관 장애로 인해 뇌의 신경 세포가 죽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이 실험을 통해 확인되었다. 매일 차를 마시는 습관이 뇌혈관성 치매를 예방해 줄 것이다.
올바른 섭취방법은?
뇌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하루에 10잔 정도의 차를 여러 번 나눠서 마시면 좋다. 테아닌은 녹차를 갈아서 분말로 만든 고급 차인 옥로와 말차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카레 퀸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식품
(전차, 번차, 현미차, 옥로, 밀차, 경차)
*찻잎 3g에 100 ~ 120g의 뜨거운 물을 부어 마시면 약 100 mg의 카테킨을 섭취할 수 있다. 하루 목표량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새롭게 끓인 것으로 약 10잔 정도를 마셔야 한다.
*전차 분말 5g으로 카테킨 650 mg을 섭취할 수 있다.
비타민 C
고혈압을 개선한다
비타민 C가 치매에 좋은 이유는?
비타민 C는 뇌혈관 장애의 위험 인자인 고혈압을 정상화하는 작용을 한다. 역학 조사에서도 비타민 C가 많은 야채와 과일을 자주 먹는 사람은 고혈압 발병률이 낮음이 증명되었다. 또한 혈액 중의 해로운 콜레스테롤이나 중성 지방을 줄이는 작용도 하므로, 동맥 경화와 치매를 예방하다.
올바른 섭취방법은?
비타민 C는 섭취 후 2~3시간 뒤에 체외로 배설되므로 식사 때마다 섭취해야 한다. 비타민 C가 풍부한 야채나 과일에는 식물 섬유를 비롯해 혈압을 억제하는 성분이 있다. 정제된 것보다는 식품으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비타민 C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식품
아세로라 C, 구아버, 적피망, 싹 양배추, 감, 키위, 유채꽃, 딸기, 겨울의 채취한 시금치, 브로콜리, 줄기채소, 오렌지
피해야 할 식품
염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식품
즉석 중화면, 절인연어, 명란젓, 다시마조림, 매실장아찌, 연어알젓, 된장, 오징어젓, 단무지등 혈압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과식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콜레스테롤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식품
장어구이, 계란, 물 오징어, 마른오징어, 칠성장어포, 닭간, 방어등의 작은 물고기, 아귀의 간 등 뇌혈관 장애를 일으키는 동맥 경화를 막기 위해 많이 먹지 않도록 한다.
재미있는 영양학
은행잎 추출물이 혈액 순환을 개선한다 은행잎 추출물이 혈액의 흐름 악화로 일어나는 치매에 효과가 있음을 인정받고 있다. 은행의 녹색 잎에는 징코라이드라고 하는 성분과 여러 종류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들이 상승효과를 일으키면 말초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액의 점도를 낮춘다. 혈액 순환이 원활하면 뇌에 영양과 산소가 잘 공급되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 뇌졸 중으로 인한 발작 후 빠른 회복을 돕고 후유증의 정도를 약하게 한다는 보고도 있다.
머니업 홈으로 https://moneyup.kr/
머니업
머니업 블로그는 유익하고 좋은 정보를 제공하여 지식정보화시대에 공유와 상생을 추구합니다^^ ~ 감사합니다! https://moneyup.kr/
moneyup.kr
'건강.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걷기운동- 운동자세/운동효과/식단관리 (18) | 2023.03.13 |
---|---|
로타바이러스-정보/백신종류/접종가능연령 (13) | 2023.03.05 |
"두릅의 효능"과 맛있게 요리해 먹는 방법 (6) | 2023.02.20 |
세계5대 장수식품 (4) | 2023.02.20 |
세계 10대 슈퍼푸드 (4) | 2023.02.19 |
댓글